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FAQ

자주 하시는 질문에 대해 정성스러운 답변을 드립니다
궁금증을 풀어보세요

해당 노드를 기준으로 위/아래 관거 형상이 기존에 제형으로 되어있어 해석시 제형 단면 측방으로 물이 넘어가 버리기 때문에 2D에서 침수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관로 형상을 기존 제형 단면에서 박스 형태로 변경시 정상적으로 침수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만약 제방 측방에서 물이 넘쳐 침수가 되는 실제 현상에 가까운 모의를 원한다면, 박스 형태로 변경 후 해당 관로에 임의의 노드를 여러 개 생성하여 모의하시기 바랍니다.
 

wet/dry 기능은 일정 값 이상을 침수로 간주하기 위한 옵션이 아니라 아래 그림과 같이 셀 측면에서 유량이 이동하기 위한 높이를 설정해주는 옵션입니다. 이 값에 따라 침수심과 침수 양상이 매우 다르게 나타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도심지의 경우 범람이 일어나면 불투수 비율이 높아 즉각적으로 확산되기 때문에 이 값은 디폴트(0.002)로 설정할 것을 권장해드립니다.


<wet/dry 깊이: 0.2>
 

wet/dry 깊이를 0.2m로 설정하였기 때문에 아래 표시된 셀 측면이 0.2m 이상의 침수심이 발생할 때까지는 유량이 확산되지 않습니다. 각 셀 측면이 0.2m 높이의 웨어를 가진 것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때문에 유역 전체적으로 높은 침수심이 발생하게 됩니다.
 

 

시간 면적법을 비롯한 도달 시간을 사용하는 기번들에 대해서 발생할 수 있는 에러입니다. 이는 도달 시간과 강우를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Rnf 작업 제어의 시간격의 디폴트 값은 1분입니다.  만약 강우의 시간 간격과 정의한 도달 시간이 1분 이하의 단위로 설정되어 있다면 지표 유출량이 크게 산출될 수 있습니다.
 

Rnf 작업 제어의 우기시 시간격을 도달 시간, 강우의 시간 간격의 배수로 일치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i.e) 도달 시간: 7.5분->작업 제어 시간격: 30초(강우의 시간간격 역시 동일)
 

 

불투수 비율의 단위는 %이며 표시는 첫째 자리까지 표시되나, 실제 해석 시에는 다음과 같이 둘째 자리까지 표시가 됩니다.

 

 

2D 집수 유량은 말 그대로 노드에서 지표면을 따라 흐르는 유량을 모은다는 의미입니다. 


2D 모의 시 월류되는 노드가 발생하는 경우 월류된 유량은 지표면을 따라 흐르다가 하류부의 노드로 다시 유입되기도 합니다.  xpswmm에서는 이 부분을 고려해서 유출량을 산정합니다. 2D 집수 유량의 설정은 각각의 노드와 작업제어 창에서도 입력할 수 있으며, 노드에 직접 입력한 값이 우선적으로 적용됩니다. 
 

out 파일에서 surcharged time, flooded time이 0이 아닌 양수라면 분명 실제 월류가 있었다는 것입니다. 다만 1차원 해석시에 사용한 시간격(통상 60초)과 2차원 해석시의 시간격(10초)에 차이가 있어서 2차원 해석시에는 피크치가 월류를 발생시키나 1차원 해석시에는 시간격이 길어서 피크치가 60초를 비껴갈 가능성이 크고 이 경우 1차원에는 월류가 없는 것처럼 모사될 수 있습니다. 


out 파일을 기초로 surcharged time, flooded time이 0이 아닌 양수인지 그리고 volume이 있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마도 그 양은 많진 않을 것이며 이를 1차원에서도 표현하고 싶다면 동일한 시간격으로 해석해 보기 바랍니다. 
 

 

먼저 시간대별 셀 별 침수심을 보기 위해서는 2D 격자와 2D 결과에서 수심에 체크한 수, 수심 항목에 우클릭하고 특성 창으로 들어가서 아래와 같이 노드 결과 디스플레이 항목에 체크를 해주시면 시간대별로 각 셀의 수심 결과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이 수심 결과에 격자 크기를 곱하면 침수량을 구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수심 항목에서 우클릭하여 현재 시 간격 결과 내보내기를 선택하면, 특정 시간에 대한 침수심 결과를 엑셀 파일(*.csv)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최대 수심에서 현재 시간격 결과 내보내기를 실행하면, 최대 수심 결과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D Log File(.tlf)은 매 시간격마다 침수 셀의 개수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합니다. 침수면적 산출의 가장 정확한 방법은 이 2D 로그 파일에서 침수 셀 개수에 격자 크기를 곱하여 산출하는 방법입니다.

 

 

줄자 도구를 이용하여 침수지역을 따라 그림으로써 면적을 빠르고 개략적으로 산출할 수도 있습니다.

 

 

 

A) Table E9 

  • Junction Name → 노드 이름
  • Ground Elevation meters → 지반고
  • Uppermost PipeCrown Elevation meters → 상류 관정고 
  • Maximum Junction Elevation meters → 최대 수위 
  • Meters of Surcharge at Max Elevation → 최대 월류심 
  • Freeboard of node meters → 여유고 
  • Maximum Junction Area m^2 → 최대 노드 면적 
  • 여기서 침수심 = 최대 수위 – 지반고

 

 

B) Table E15 - Conduit Name → 관로 이름 

  • Maximum Flow → 최대 유량 
  • Total Flow → 총 유량 
  • Maximum Velocity → 최대 유속 
  • Maximum Volume → 최대 유량 
  • Invert Elevation → 관저고 
  • Maximum Elevation → 최대 수위 
  • 여기서 침수심 = 최대 수위 – 지반고

 

 

C) Table E20 

  • Surcharge Time → 월류 시간 
  • Flooded Time → 범람 시간 
  • Out of 1D-System (Flooded Volume) → 1D 시스템에서 제외된 유량 (범람 된 유량)
  • Passed to 2D cell OR Volume Stored in allowed Flood Pond of 1D-System → 1D 시스템에서 저장되거나 2D 셀로 넘어간 유량


 

 

최대 수위: 저류지로 지정한 노드의 최대 수위를 임의로 지정한 후 해석하면, 지정 수위를 넘지 않도록 직하류부의 링크 관경이 자동으로 조절됩니다.


유역 크기 조정: 임의로 지정한 수위를 넘어가게 되면 반복 계산을 통해 저류지의 크기를 최적의 값으로 자동 조절합니다. 상하류 관과 유역 크기 조정: 임의로 지정한 수위를 통해 저류지 최적화를 먼저 실행한 후, 직하류 링크로 흐르는 유량이 지정한 최대 방류량을 넘어가게 되면 링크 크기를 축소시키고 그에 따른 저류지의 크기를 다시 계산합니다.
 

최대 방류량: 저류지 직하류의 링크로 방류되는 유량을 제한합니다. 지정한 최대 용량을 넘어가면 링크의 크기가 자동으로 축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