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FAQ

자주 하시는 질문에 대해 정성스러운 답변을 드립니다
궁금증을 풀어보세요

2D 집수 유량은 말 그대로 노드에서 지표면을 따라 흐르는 유량을 모은다는 의미입니다. 


2D 모의 시 월류되는 노드가 발생하는 경우 월류된 유량은 지표면을 따라 흐르다가 하류부의 노드로 다시 유입되기도 합니다.  xpswmm에서는 이 부분을 고려해서 유출량을 산정합니다. 2D 집수 유량의 설정은 각각의 노드와 작업제어 창에서도 입력할 수 있으며, 노드에 직접 입력한 값이 우선적으로 적용됩니다. 
 

out 파일에서 surcharged time, flooded time이 0이 아닌 양수라면 분명 실제 월류가 있었다는 것입니다. 다만 1차원 해석시에 사용한 시간격(통상 60초)과 2차원 해석시의 시간격(10초)에 차이가 있어서 2차원 해석시에는 피크치가 월류를 발생시키나 1차원 해석시에는 시간격이 길어서 피크치가 60초를 비껴갈 가능성이 크고 이 경우 1차원에는 월류가 없는 것처럼 모사될 수 있습니다. 


out 파일을 기초로 surcharged time, flooded time이 0이 아닌 양수인지 그리고 volume이 있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마도 그 양은 많진 않을 것이며 이를 1차원에서도 표현하고 싶다면 동일한 시간격으로 해석해 보기 바랍니다. 
 

 

먼저 시간대별 셀 별 침수심을 보기 위해서는 2D 격자와 2D 결과에서 수심에 체크한 수, 수심 항목에 우클릭하고 특성 창으로 들어가서 아래와 같이 노드 결과 디스플레이 항목에 체크를 해주시면 시간대별로 각 셀의 수심 결과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이 수심 결과에 격자 크기를 곱하면 침수량을 구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수심 항목에서 우클릭하여 현재 시 간격 결과 내보내기를 선택하면, 특정 시간에 대한 침수심 결과를 엑셀 파일(*.csv)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최대 수심에서 현재 시간격 결과 내보내기를 실행하면, 최대 수심 결과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D Log File(.tlf)은 매 시간격마다 침수 셀의 개수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합니다. 침수면적 산출의 가장 정확한 방법은 이 2D 로그 파일에서 침수 셀 개수에 격자 크기를 곱하여 산출하는 방법입니다.

 

 

줄자 도구를 이용하여 침수지역을 따라 그림으로써 면적을 빠르고 개략적으로 산출할 수도 있습니다.

 

 

 

A) Table E9 

  • Junction Name → 노드 이름
  • Ground Elevation meters → 지반고
  • Uppermost PipeCrown Elevation meters → 상류 관정고 
  • Maximum Junction Elevation meters → 최대 수위 
  • Meters of Surcharge at Max Elevation → 최대 월류심 
  • Freeboard of node meters → 여유고 
  • Maximum Junction Area m^2 → 최대 노드 면적 
  • 여기서 침수심 = 최대 수위 – 지반고

 

 

B) Table E15 - Conduit Name → 관로 이름 

  • Maximum Flow → 최대 유량 
  • Total Flow → 총 유량 
  • Maximum Velocity → 최대 유속 
  • Maximum Volume → 최대 유량 
  • Invert Elevation → 관저고 
  • Maximum Elevation → 최대 수위 
  • 여기서 침수심 = 최대 수위 – 지반고

 

 

C) Table E20 

  • Surcharge Time → 월류 시간 
  • Flooded Time → 범람 시간 
  • Out of 1D-System (Flooded Volume) → 1D 시스템에서 제외된 유량 (범람 된 유량)
  • Passed to 2D cell OR Volume Stored in allowed Flood Pond of 1D-System → 1D 시스템에서 저장되거나 2D 셀로 넘어간 유량


 

 

최대 수위: 저류지로 지정한 노드의 최대 수위를 임의로 지정한 후 해석하면, 지정 수위를 넘지 않도록 직하류부의 링크 관경이 자동으로 조절됩니다.


유역 크기 조정: 임의로 지정한 수위를 넘어가게 되면 반복 계산을 통해 저류지의 크기를 최적의 값으로 자동 조절합니다. 상하류 관과 유역 크기 조정: 임의로 지정한 수위를 통해 저류지 최적화를 먼저 실행한 후, 직하류 링크로 흐르는 유량이 지정한 최대 방류량을 넘어가게 되면 링크 크기를 축소시키고 그에 따른 저류지의 크기를 다시 계산합니다.
 

최대 방류량: 저류지 직하류의 링크로 방류되는 유량을 제한합니다. 지정한 최대 용량을 넘어가면 링크의 크기가 자동으로 축소됩니다.
 

 

 

 

이후 불러들인 파일을 우클릭하여 원하는 항목을 선택 후 노드나 링크로 변환하여 가져올 수 있습니다.

 

xpswmm1

 

없음: 노드를 통해 월류되는 유량을 시스템 밖으로 제외합니다.

 

허용: 노드를 통해 월류 되는 유량을 시스템 상의 임시 저류지에 저장했다가 관망 상황에 따라 다시 돌려보내기도 합니다. 임시 저류 면적 및 깊이 값은 Hydraulics 작업 제어의 절점 기본값에 기반합니다. 이는 절점 기본값에 체크를 하지 않아도 적용됩니다.

 

봉인: 맨홀 뚜껑이 막혀 있는 개념으로 월류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노드에서 사용합니다. 사이펀/역사이펀과 같이 관 구배가 변경되는 구간이나 본관 보강을 위한 펌프 연결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압력 흐름이 발생하기 때문에 종단도에서 수위가 높게 나오는 경향이 있습니다.

 

2D 지반고 연결: 2D 해석 시 반드시 사용하는 옵션이며, 1D 관망에서 월류 된 유량을 2D 셀로 보내 침수 해석을 할 수 있게 해줍니다. ‘허용’ 옵션과 유사한 개념이며, 유량이 다시 관망으로 유입되는 경우 노드의 유입구 용량에 의해 제어됩니다.

 

2D 관저고 연결: 월류가 맨홀에서 발생하지 않고, 암거와 같이 관 말단에서 유량이 곧장 외부로 나가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관 인자의 ‘침전 깊이’는 관 내 쌓인 침전물의 양을 기본으로 하여 관거 내부의 통수능 변화를 나타내는 고정 값입니다. xpswmm에서는 침식/퇴적 과정을 해석할 수 없습니다. Sanitary 모드의 침식/퇴적은 단지 수질에 관한 기능으로써 농도에만 영향을 줄 뿐 관내의 양적인 면에서는 영향이 없습니다. 참고로 XPSWMM과 유사한 프로그램인 InfoWorks ICM에서는 농도 해석 및 침식/퇴적과 같은 양적인 모의가 가능합니다.

 

관망 내 구배를 살펴본 후 상식적으로 무리가 있는 지점은 지반고나 연장을 수정합니다. xpswmm은 안정적인 모델링을 위해 관의 연장이 최소 10m 이상으로 할 것을 통상적으로 추천합니다. 합류 관거의 경우 도달시간의 차이에 따라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도달시간은 xpswmm에서 계산되지 않고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항목이기 때문에 정확한 값을 고려해야 합니다. 시간-면적법의 경우 도달시간의 권장 값은 최소 5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