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 하시는 질문에 대해 정성스러운 답변을 드립니다
궁금증을 풀어보세요
염소 농도를 직접적으로 모델링 할 수는 없지만 mantis2 라이브러리에서 "기타 양이온" 및 "기타 음이온"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타 음이온"은 직접적으로 모델링 되지 않는 CI-, SO42 등의 모든 음이온을 의미하며 마찬가지로 "기타 양이온"은 명시되지 않은 가능한 다른 양이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염소 농도 적용 시 CI-는 "기타 음이온" 항목으로 Na+는 "기타 양이온" 항목으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모델링 목표에 따라 이 방법이 충분할 수도 있지만 생물학적 프로세스에 대한 고농도 염분 영향의 효과를 모델링 하기를 원하거나 염소 이온 제거를 평가하기를 원한다면 컨설팅을 통한 사용자 맞춤 설정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에러 메시지>
메인 메뉴의 보기>환경 설정>빌드 탭으로 가서 포트란 코드를 확인합니다. 기본값은 Quick입니다. Code가 Exact로 되어있는 경우 해당 에러 메시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코드는 레이아웃의 특성에 따라 변경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한 설명은 사용자 매뉴얼 8장(모델 만들기 및 실행하기-빌딩 옵션)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입력한 유입수 성분의 경우 다음과 같이 출력 변수>유입수>유입수 구성에서 입력한 유입수 성분 항목에 마우스를 가져가면 내성 변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TN과 TKN의 성분을 정리하면 TN: Org-N+NH3+NO2+N03, TKN: Org-N+NH3입니다. 유입수 TN중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TKN입니다. (유입수 중에는 NO2, NO3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물론 TN으로 모델링 하는 것이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는 있겠지만 위와 같은 이유로 TKN을 유입수 인자로 이용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 공정 시험법은 TKN이 아닌 TN으로 실험하는데 이는 커다란 오류일 수도 있습니다. TN은 TKN+NOx-N인데 NOx-N은 용존 물질로 GC를 이용해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하수처리장의 유입수, 유출수 분석 시 우리나라 공정시험법으로 실험하면 그 값은 T-N이 아닌 TKN 값입니다.
GPS-X 난분해성 물질은 si와 xi를 의미합니다.
즉 용해성 cod에서의 비활성 물질과 입자성 물질에서의 비활성 물질 두 가지를 난분해성 물질로 설정하는 것입니다. 유입수 조언자에서 si와 xi를 클릭하면 관련되는 변수들이 하늘색으로 하이라이트됩니다. 해당 부분의 값을 조절하면서 우측 하단의 bod/cod 값이 변동되는 것을 확인합니다. bod/cod 값이 작아질수록 난분해성 물질이 많다는 것입니다.
블랙박스 객체는 블랙박스 모델을 지원하는 객체입니다.
통상적으로 수치 해석에서 블랙박스 모델이라고 하는 것은 기술적 모델(descriptive 모델)을 의미하는 것으로 블랙박스의 의미대로 블랙박스 안에서 어떤 현상이 나타나는 것인지 상관관계를 변수를 추정하여 예측하기보다는 input, output의 결과만 보는 것이라 해석할 수 있습니다.
블랙박스에는 크게 empiric, interchange, pipe 모델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보통 empiric 모델을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Empiric 모델은 사용자가 BOD, TKN, SS 값을 특정 값으로 지정하거나 input 값의 비례한 fraction으로 지정을 해두면 블랙박스 output 부분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값으로 재설정 되고 (BOD, TKN, SS) 그 외의 값들도 지정한 값을 기준으로 재계산되어 설정됩니다.
Interchange 모델은 출구 쪽의 상태 변수를 특정 상태 변수로 바꿔주는 것입니다. Interchange 모델은 상태 변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부분이므로 특별한 경우가 아닌 이상 사용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Pipe 모델은 관망에서의 지체 시간을 고려한 것입니다. 관망의 사이즈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관망 내에서 생물학적 반응은 고려하지 않습니다.
운전 비용은 크게 송풍 비용(블로워)과 펌프의 운전 비용으로 나뉩니다. 객체의 마우스 우클릭해서 입력변수>운전변수>운전비용 메뉴를 보면 다음 그림과 같이 나타납니다. 수두와 효율 부분을 입력하면 됩니다.
질산화 탈질화의 과정은 출력 그래프의 암모니아 농도 프로필 혹은 질산성이온의 농도 프로필 등의 패턴을 보면서 파악할 수 있습니다. 혹은 생물반응조의 출력변수>내부변수에서 탈질률 DNR 값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가능합니다. 최적화는 목표 변수가 존재해야 합니다. 탱크 사이즈를 최적화 변수로 설정하고 무엇을 목표로 하는지 프로그램 내에 인식시키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방류수 수질 혹은 목표로 하는 변수를 설정한 후에 최적화 분석을 수행하면 됩니다.
기본 레이아웃에서 여러 가지 입력 조건을 수정한 후에 시나리오를 만들고자 할 경우에 기본값을 수정한 상태를 저장하여 시나리오를 만들 경우에 해당 메뉴(시나리오 전달 제어)를 클릭하면 새로 만든 시나리오에 수정된 상황이 저장됩니다.
예를 들어 기초 유량이 2,000이고 사용자가 3,000으로 수정하여 시뮬레이션을 한 후에 시나리오를 만들고자 할 때, 해당 메뉴를 클릭하면 기초 유량 2,000이 아닌 3,000으로 시나리오가 저장됩니다. 즉 시나리오로 전달 제어는 기초 레이아웃에서 변경된 상황이 새로 만든 시나리오에 저장되는 것입니다.